투고안내
- 보내실 글은 다른 곳에 게재되었거나 게재될 계획이 없는 미발표 논문이어야 하며, 학술성과 시사성을 갖춘 논문이어야 합니다.
- 기고된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기준에 따라 게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, 본지에 기고된 원고는 반환하지 않습니다.
게재된 논문에 대해서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하고 있습니다.
- 게재된 눈문의 저작권은 한국방위산업진흥회에 귀속됩니다.
- 원고의 표지에는 논문제목, 저자 정보(성명, 소속기관 및 직위, 주소, 연락 전화번호, E-mail주소)를 명기합니다.
- 원고 제출 : 원고, 필자 사진(고해상도), 보안성검토 결과지(사본)를 [ ksh22@kdia.or.kr ]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.
원고집필요령
원고의 분량
원고의 분량은 각주, 표, 그림이 포함된 본문과 참고문헌을 합하여 A4용지 15매 이내로 한다.
인용, 각주, 참고문헌의 표기
가) 인용
2. 간접 인용의 경우에는 인용문의 끝 부분 상단에 주 번호를 달고 그 출처를 각주에서 밝혀 준다.
3. 재인용의 경우에는 누구의 어느 책에서 재인용한 것인지 그 출처를 그대로 밝혀야 한다.
나) 각주 작성요령
-
1. 저서
- ○○○, 「국가안보에 대한 이해」, 법문사, 2015, P.100.
- ○○○, Alexander the Great’s Art of Strategy, Gotham Books, 2003, P.98.
-
2. 논문
- ○○○, “동북아 질서의 재조정”, 「국제정치논총」 제43집 제4호, 2003, pp.7~30.
- ○○○, “Redefining the National Interest”, Foreign Affairs Vol. 78, No. 4, Winter 1999, P.21.
-
3. 편저서
- ○○○, “주체사상 비판”, 윤성식(편), 「북한체제의 허구성」, 문학과 지성사, 2010, P.111.
- ○○○, “IMF : Monetary Managers”, in Robert W. Cox and Harold Jacobson(eds.). The Anatomy of Influence,
New Haven, CT: Yale University Press, 1973, P.277.
-
4. 번역서
- ○○○(역), 「현대전략론」,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, 2009, pp.156∼157.
-
5. 학위논문
- ○○○, “조선시대 병영 연구”, 국방대학교 박사학위 논문, 2004, pp.25~26.
-
6. 세미나 및 학회 발표논문
- ○○○, “미국의 아태지역 군사정책”, 「아태지역 국가리더십 변화와 안보도전: 유럽과 아시아의 시각」,
안보문제연구소 제3회 국제공동학술회의, 2013. 4. 11, P.71
-
7. 같은 문헌을 다시 언급하는 경우
- ○○○(2015), P.100.
- ○○○(2003), P.90.
- ○○○(2003), pp.25∼28.
- ○○○(1999), P.27.
-
8. 인터넷 자료
- 홍길동, “한국의 국방정책”, http://www.dic.mil/jcs/core/nms.html(검색일: 2015. 12. 30).
-
9. 일간지 및 주간지의 기사와 칼럼
- “유엔평화유지군 참여 결정”, 00일보(2015. 12. 30). “The Different Faces of Democracy”, Weekly Review. May 3, 2002, P.19.
- 1. 참고문헌에는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한 모든 문헌의 자세한 문헌정보를 기재하며,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헌은 포함시키지 않는다.
- 2. 참고문헌은 한글문헌, 로마자로 표기되는 구미어 문헌, 기타 외국어(일본어, 중국어, 러시아어 등) 문헌 순으로 배열하며, 각 문헌별로 가나다순 혹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.
- 3. 참고문헌의 기본 양식은 각주 작성요령과 동일하다. 다만 마지막의 쪽수는 제외한다.
기타 참고사항
- 본문 속에서 약어 사용시 해당 용어를 처음 사용할 때는 풀어서 쓰고, 그 다음 번부터는 약어를 사용한다.
- 표 및 그림에는 제목을 붙여야 하고 [표 1], [그림 1]과 같은 형태로 구분하여 작성하고, 출처는 표나 그림 바로 아래에 제시한다.
예) 출처: 한국은행, 「통계연감」, 1985, pp.1∼2. - 본문 속에서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한자를 사용할 수 있다.
- 저자의 소속 및 직위는 저자 사진 하단에 기재하되, 공저의 경우에는 대표저자의 사진이 맨 왼쪽에 위치하도록 한다.